요 3:22-30절
“22 그 후에 예수께서 제자들과 유대 땅으로 가서
거기 함께 유하시며 세례를 베푸시더라
23 요한도 살렘 가까운 애논에서 세례를 베푸니 거기
물이 많음이라 그러므로 사람들이 와서 세례를
받더라
24 요한이 아직 옥에 갇히지 아니하였더라
25 이에 요한의 제자 중에서 한 유대인과 더불어
정결예식에 대하여 변론이 되었더니
26 그들이 요한에게 가서 이르되 랍비여 선생님과
함께 요단 강 저편에 있던 이 곧 선생님이
증언하시던 이가 세례를 베풀매 사람이 다
그에게로 가더이다
27 요한이 대답하여 이르되 만일 하늘에서 주신 바
아니면 사람이 아무것도 받을 수 없느니라
28 내가 말한 바 나는 그리스도가 아니요 그의 앞에
보내심을 받은 자라고 한 것을 증언할 자는
너희니라
29 신부를 취하는 자는 신랑이나 서서 신랑의 음성을
듣는 친구가 크게 기뻐하나니 나는 이러한
기쁨으로 충만하였노라
30 그는 흥하여야 하겠고 나는 쇠하여야 하리라
하니라”
1.
예수님과 세례 요한이 동시에 세례를 베풀었습니다.
“22 그 후에 예수께서 제자들과 유대 땅으로 가서 거기
함께 유하시며 세례를 베푸시더라
23 요한도 살렘 가까운 애논에서 세례를 베푸니 거기
물이 많음이라 그러므로 사람들이 와서 세례를
받더라”
예수님이 베푸신 세례는 예수님의 제자들이 베푼 것입니다.
[요4:2] (예수께서 친히 세례를 베푸신 것이 아니요 제자들이 베푼 것이라)
세례 요한이 베푼 세례를 회개의 세례라고 부릅니다.
요한이 세례를 베풀며 회개하라고 외쳤기 때문입니다.
회개는 주님이 오실 길을 예배하는 것입니다.
[마3:1-3]
“1 그 때에 세례 요한이 이르러 유대 광야에서
전파하여 말하되
2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 하였으니
3 그는 선지자 이사야를 통하여 말씀하신 자라
일렀으되 광야에 외치는 자의 소리가 있어 이르되
너희는 주의 길을 준비하라 그가 오실 길을 곧게
하라 하였느니라”
주의 길을 준비하고
그가 오실 길을 곧게 하는 것이 회개입니다.
돌이켜 예수를 구주로 맞이하는 것이 회개입니다.
이렇게 회개한 자들이 천국 백성입니다.
천국은 회개한 자들이 가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도 동일한 메시지를 전하셨습니다.
[마4:17]
“이 때부터 예수께서 비로소 전파하여 이르시되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 하시더라”
회개없이 구원없고 회개없이 천국 없습니다.
회개란 하나님 없이 살던 삶에서 하나님께로 돌아와 하나님께 함께 사는 삶으로의 변화를 말합니다.
회개는 근본적 삶의 변화를 말합니다.
내 삶의 근본적 삶의 변화를 경험하셨나요?
삶 속에서 문득 문득 ‘이러면 하나님이 기뻐하지 않을 것 같은데’라는 생각이 들고, 내적으로 ‘하나님을 섬기는 사람이 그렇게 살면 되겠니?’ 라는 성령의 음성이 들리고, 뭘 해도 하나님이 신경이 쓰이면 회개한 사람입니다.
회개하지 않은 사람은 하나님이 신경쓰이지 않지만
회개한 사람은 매사에 하나님이 신경쓰입니다.
매사에 하나님의 시선이 신경쓰이시나요?
그렇다면 축복입니다. 회개의 증거이기 때문입니다.
내가 천국 백성이 되었다는 증표이기 때문입니다.
2.
사람들이 예수에게 몰리기 시작했습니다.
“24 요한이 아직 옥에 갇히지 아니하였더라
25 이에 요한의 제자 중에서 한 유대인과 더불어
정결예식에 대하여 변론이 되었더니
26 그들이 요한에게 가서 이르되 랍비여 선생님과
함께 요단 강 저편에 있던 이 곧 선생님이
증언하시던 이가 세례를 베풀매 사람이 다
그에게로 가더이다
27 요한이 대답하여 이르되 만일 하늘에서 주신 바
아니면 사람이 아무것도 받을 수 없느니라”
세례 요한의 제자들은 소위 동종 업계 이웃집 가게에 손님 빼앗기는 것처럼 스승인 세례 요한에게 올 사람들이 다 예수에게 빼앗기고 있다고 알립니다.
25절에 요한의 제자 중에서 한 유대인과 더불어
정결예식에 대하여 변론이 되었다는 말은
예수의 세례와 요한의 세례에 대한 논쟁입니다.
요한의 제자들은 요한에게 “큰 일 났습니다. 사람 다 빼앗기게 되었습니다.”라고 말하는데 요한은 “만일 하늘에서 주신 바 아니면 사람이 아무것도 받을 수 없느니라”고 대답합니다.
요한은 철저히 하나님 중심의 사람이었습니다.
모든 것을 하나님 중심으로 해석하고 판단하는 사람이 었습니다. 이것이 바른 신앙입니다.
‘만일 하늘에서 주신 바 아니면 사람이 아무것도 받을 수 없느니라’는 세례 요한의 말은 예수님이 하나님이 보내신 메시야이기에 하나님께서 사람들을 예수에게 보내고 계신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삶에 일어나는 일들을 하나님 중심으로 해석하나요?
다른 사람과 비교하며 위기 의식속에 불안해 하나요?
하나님 중심에 바로 설 때 삶이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일어나는 일들을 바르게 해석합니다.
마음이 요동치지 않고 평안이 가득합니다.
하나님 중심으로 바로 서시기를 바랍니다.
3.
세례 요한은 자신의 정체를 다시 밝힙니다.
“28 내가 말한 바 나는 그리스도가 아니요 그의 앞에
보내심을 받은 자라고 한 것을 증언할 자는
너희니라”
세례 요한은 자신을 따르는 제자를 자기 사람으로 만들지 않았습니다. 자신과 동일하게 예수를 따르는 사람이 되기를 바랬습니다.
그래서 요한은 “선생님 지금 위기입니다”라고 말하는 제자들에게 “너희들 지금까지 무엇을 배웠니? 나는 예수님이 오실 길을 예비하라고 광야에서 외치는 자의 소리라고 하지 않았냐. 사람들이 예수님께로 몰려가면 우리의 사역이 성공하고 있는 것인데 무엇인 위기란 말이냐? 너희들이 오히려 나에게 와서 흥분된 어조로 “선생님 사람들이 예수님에게 몰려가고 있습니다. 선생님이 바라시는대로 되고 있습니다. 우리의 사역이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라고 말해야 하지 않겠니?” 라고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비교의식에 사로잡히면 모든 것이 위기로 보입니다.
사명의식에 사로잡히면 모든 것이 바르게 보입니다.
상황을 바르게 인식하는 눈을 가지고 계신가요?
바른 사명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사람들의 말에 휘둘리게 됩니다.
요한은 제자들의 말에 휘둘리지 않았습니다.
제자들에게 바른 신앙의 자세를 가르쳤습니다.
“29 신부를 취하는 자는 신랑이나 서서 신랑의 음성을
듣는 친구가 크게 기뻐하나니 나는 이러한
기쁨으로 충만하였노라
30 그는 흥하여야 하겠고 나는 쇠하여야 하리라
하니라”
세례 요한은 사람들이 예수님에게 몰려가는 것이 진심으로 기뻤습니다. 그래서 자신은 결혼식에서 신랑의 친구가 누리는 기쁨이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는 “예수는 흥하여야 하고 자신은 쇠하여야 하리라”고 지자들에게 말합니다.
많은 이들이 예수를 통해 자신이 흥하려고 합니다.
사람들을 예수의 제자가 아닌 자기의 제자로 만들려고 합니다.
나는 없고 오직 예수만 드러나야 합니다.
그것이 성공적 삶입니다.
아닌 그것이 성공한 삶입니다.
사람들에게 주목받는 인생이 성공한 인생이 아니라
사람들을 예수님께 주목하게 만드는 인생이 성공한 인생입니다.
성공적 인생을 살고 계신가요?
내 삶에 세례 요한의 기쁨이 없고
요한의 제자들처럼 위기의식 속에 살고 있다면
무엇이 문제인 거 같나요?
성공 여부는 내 안의 기쁨에 달려 있습니다.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기쁨이 충만하면 성공한 인생입니다.
이 기쁨은 예수를 드러내는 자에게 주시는
하나님이 선물입니다.
성경일독 : 왕상 8-10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