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 4:11-22절
“11 여호와께서 그의 분을 내시며 그의 맹렬한 진노를
쏟으심이여 시온에 불을 지르사 그 터를
사르셨도다”
예루살렘 성을 포위하고 점령한 바벨론은 성전과 왕궁과 집들을 불살라 버렸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맹렬한 진노로 불사르신 것과 같습니다.
‘그 터를 사르셨도다’는 것은 유다에 임한 하나님의 심판의 철저함과 심각성을 말해줍니다.
예루살렘 성은 난공불락의 성으로 여겨졌습니다.
“12 대적과 원수가 예루살렘 성문으로 들어갈 줄은
세상의 모든 왕들과 천하 모든 백성이 믿지
못하였었도다”
예루살렘은 천연적, 인위적 방어망으로 공격하기가 어렵고 무너뜨리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성이었으나 하나님은 예루살렘을 무너뜨리셨고 터까지 불살라 버리셨습니다.
세상 사람들이 도저히 믿지 못할 일을 하나님이 행하셨습니다. 그것도 자기 백성에게 말입니다.
하나님께서 이렇게 행하신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도자들의 범죄 때문입니다.
“13 그의 선지자들의 죄들과 제사장들의 죄악들
때문이니 그들이 성읍 안에서 의인들의 피를
흘렸도다”
선지자와 제사장들은 백성을 의인들이 되도록 해야 하건만 도리어 의인들의 피를 흘리는 죄를 범했습니다.
백성들에게 길을 안내해야 할 자들이 오히려 소경이 되어 비틀거리며 그들의 옷을 피에 더럽혀 그들을 가까이 하는 이들이 없을 정도였습니다.
“14 그들이 거리 거리에서 맹인 같이 방황함이여
그들의 옷들이 피에 더러워졌으므로 아무도 만질
수 없도다”
타락한 종교 지도자들은 이방인들에게조차 멸시 받았습니다.
“15 사람들이 그들에게 외쳐 이르기를 저리 가라
부정하다, 저리 가라, 저리 가라, 만지지 말라
하였음이여 그들이 도망하여 방황할 때에
이방인들이 말하기를 그들이 다시는 여기서 살지
못하리라 하였도다”
타락한 선지자들과 제사장들이 유리하는 자들처럼 이방 나라들 속에서도 거할 곳을 찾지 못하고 훌어지게 만드신 분은 여호와 하나님이십니다.
“16 여호와께서 노하여 그들을 흩으시고 다시는
돌보지 아니하시리니 그들이 제사장들을 높이지
아니하였으며 장로들을 대접하지
아니하였음이로다”
여호와께서 선지자들과 제사장들을 흩으시고 돌보지 않으시자 이방인들이 제사장들을 높이지 않고 장로들을 대접하지 않았습니다.
어떤 나라나 기관이나 단체나 지도자가 중요합니다.
지도자가 바로서야 나라와 기관과 단체가 바로 섭니다.
지도자들이 올바로 서도록 기도하고 있나요?
[딤전2:1-2]
“1 그러므로 내가 첫째로 권하노니 모든 사람을
위하여 간구와 기도와 도고와 감사를 하되
2 임금들과 높은 지위에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하라 이는 우리가 모든 경건과 단정함으로 고요하고
평안한 생활을 하려 함이라”
유다가 패망한 원인은 지도자들의 타락이었고, 다른 하나는 창조주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고 헛되이 이방 나라의 군사력을 의지했기 때문입니다
“17 우리가 헛되이 도움을 바라므로 우리의 눈이
상함이여 우리를 구원하지 못할 나라를 바라보고
바라보았도다”
유다는 애굽의 도움을 구하다가 낭패를 당했습니다.
“18 그들이 우리의 걸음을 엿보니 우리가 거리마다 다
다닐 수 없음이여 우리의 끝이 가깝고 우리의
날들이 다하였으며 우리의 종말이 이르렀도다”
19 우리를 뒤쫓는 자들이 하늘의 독수리들보다
빠름이여 산 꼭대기까지도 뒤쫓으며 광야에서도
우리를 잡으려고 매복하였도다”
바벨론의 군대는 마치 사냥꾼처럼 유다 백성을 엿보며 빠르고 신속하게 사냥했습니다.
“20 우리의 콧김 곧 여호와께서 기름 부으신 자가
그들의 함정에 빠졌음이여 우리가 그를 가리키며
전에 이르기를 우리가 그의 그늘 아래에서
이방인들 중에 살겠다 하던 자로다”
여호와께서 기름 부으신 자는 남 유다의 마지막 왕인 시드기야 왕을 말합니다. 하나님께서 세우신 왕이 하나님의 말씀대로 나라를 이끌면 이방인 중에서 평안히 살 수 있으나 하나님의 말씀을 떠나면 왕의 그늘은 사라지고 맙니다.
우리의 진정한 도움은 하나님께 있습니다.
하나님께 도움을 구하고 계신가요?
“21 우스 땅에 사는 딸 에돔아 즐거워하며 기뻐하라
잔이 네게도 이를지니 네가 취하여 벌거벗으리라”
애돔은 유다의 형제 나라입니다. 이스라엘의 조상인 야곱의 형인 에서가 조상인 나라가 에돔입니다. 그런데 유다가 멸망할 때 에돔이 즐거워하며 기뻐했습니다.
‘에돔아 즐거워하며 기뻐하라’란 ‘기뻐하며 즐거워 할테면 해봐라’라는 뜻입니다.
형제 나라의 멸망을 기뻐하던 에돔에게 하나님의 진노의 잔이 부어져 그들도 벌거벗겨지게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에돔은 예루살렘이 멸망할 때 약탈까지 했습니다.
예레미야는 마지막으로 유다의 희망을 이야기합니다.
“22 딸 시온아 네 죄악의 형벌이 다하였으니 주께서
다시는 너로 사로잡혀 가지 아니하게 하시리로다
딸 에돔아 주께서 네 죄악을 벌하시며 네 허물을
드러내시리로다”
예레미야는 완료형을 사용하여 미래에 유다의 죄악의 형벌이 다하는 날이 올 것이고, 그러면 하나님께서 회복을 주실 것이라는 말합니다. 이어 에돔의 심판의 날도 반드시 올 것이라고 말합니다.
하나님의 백성에게 절망은 없습니다.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생각은 재앙이 아니라 평안이고 미래와 희망을 주는 것입니다.
형제의 재앙을 기뻐하고 있지는 않나요?
미래에 대해 불안해 하며 낙심하지는 않나요?
형제에 대해 선한 마음을 갖기를 바랍니다.
미래에 대해 소망을 가지시기를 바랍니다.
적용 : 오늘 실천할 한 가지는 무엇인가요?
성경일독 : 창세기 28-30장